지식산업센터란 무엇인가요? 오피스텔, 섹션오피스, 공유오피스 차이점 비교
세월이 흐르면서 부동산 임대사업과 관련하여 다양한 투자상품이 나옵니다. 지식산업센터, 오피스텔, 섹션오피스, 공유오피스의 차이와 지식산업센터가 왜 생겼는지 알아보도록 할게요.
지식산업센터가 생긴 이유는 무엇일까요?
토지 이용의 고도화 및 관리,운영 고효율성
한정된 토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지식산업센터가 생겼습니다.
정책목표 | 현안문제 | 기대효과 |
용지난 해소 | ·대도시 공업용지의 절대 부족 | ·토지이용의 고도화 |
도시환경개선 | ·중소규모 작업장의 난립으로 주거환경 훼손 | ·공장의 집단화 가능 ·공장의 미관 개선 |
자가 공장의 확보 | ·임대공장으로 인한 기업 조업여건의 불안정 | ·고지가 지역에서 단독공장보다 저렴한 가격으로 자가 공장 확보 |
지역경제의 활성화 | ·도심의 제조업 기반 이탈로 도시 내 영세민의 소득 기반상실 | ·주거기능을 저해하지 않는 공장으로 직주근접 가능 ·대도시 내 공장입지로 기업의 노동력 공급기반 제공 |
중소기업의 경쟁력 제고 | ·영세기업이 부대시설을 별도로 보유하고 있어 부담이 큼 | ·부대시설 공동이용 가능 ·시설의 일괄관리로 관리비 절감(규모의경제, 범위의경제) |
기업간 협력 및 정보교류 | ·관련 기업 간 기술·정보의 교류 필요성 | ·공장집단화로 동업종 및 이업종 교류 가능 |
작업환경 개선 | ·대도시 내 많은 공장들이 지하에 있어 작업환경이 열악 | 근대화된 시설로 작업환경 개선 및 생산성 향상 |
상대적으로 넓은 용지를 이용해야하는 공장은, 땅덩어리가 좁은 우리나라에서는 비교적 부담이 컸습니다. 공업용지는 필요한데 적은 땅의 활용을 극대화하려면 아파트와 같이 높게 건축을 할 수 밖에 없었죠.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인구밀도가 높고 산업용으로 활용할 수 있는 토지가 제한이 있는 홍콩, 싱가포르와 같은 동남아 국가들의 경우 다층형 공장 빌딩이 있는데 이러한 건물들은 지식산업센터와 동일한 토지 이용의 고도화를 위한 목적으로 건축이 되었습니다.
지식산업센터의 역사
- 1960년 후반~90년 ; 구로공단 국가 경제 핵심역할
- 1990년 : 고유가, 인건비 상승
- 1990년 중반 : 제조공장 중국, 동남아로 이동 [국내 경제 제조업 중심 ▶ IT산업 중심으로 급변화]
- 1990년 후반 : IMF 외환위기, 벤처육성특벌법
- 2000년 : 첨단 고층빌딩으로 변화
1989년 이후 공공부문의 주도로 인하여 지식산업센터가 본격적으로 건립되기 시작하였고, 1991년에 서울 및 경기 지역에 4개소가 설립되었습니다. 1990년 중반 "벤처기업 육성에 관한 특별조치법" 등이 발표되었고 기업들에 대한 각종 세제 혜택, 건설비 지원 등의 다양한 정책이 추진되면서 본격적으로 활성화가 됩니다.
최근에는 민간 자본의 유입과 더불어 첨단화, 고급화, 대형화가 이루어지면서 오피스 빌딩과 유사한 투자상품으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지식산업센터의 변화
지식산업센터는 2000년 중반부터 본격적으로 빛을 발하기 시작했습니다. 다양한 편의시설 및 문화공간 등 단지내에서 다양한 커뮤니티 시설을 이용할 수 있는 복합적인 건물로 탈바꿈하게 됩니다. 이제는 지식산업센터에서 업무는 물론, 휴식과 취미생활, 문화시설, 그리고 기숙사까지 모두 이용할 수 있게 되었죠.
기존의 1세대로 불리는 단순공장에서 2세대 아파트형 공장에서 현재까지 지산은 현대산업에 발맞추어 많은 변화가 이루어졌습니다. 시간이 지날수록 지식산업센터는 대형화 및 고층화되며 산업단지가 형성되는 지역에 눈에띄는 모습으로 자리를 잡고 있습니다.
지식산업센터의 정의
공장+지원시설로 구성된 3층 이상의 집합건물 (6개 이상 사업장)
지식산업센터란 하나의 건축물에 제조업, 지식산업(IT 등), 정보통신업에 해당하는 회사(공장)와 이를 지원하는 지원시설이 복합적으로 존재하는 3층 이상 6개이상의 사업장이 입주할 수 있는 집합건물을 말합니다.
산업집적법에 의거하여 "산업집적활성화 및 공장설립에 관한 법률"에 따라 건축할 수 있는 지역이 정해져 있고 그에 따라 입주할 수 있는 사업체들도 정해져 있습니다.
'부동산스토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목조 주택과 콘크리트 주택의 장, 단점 (0) | 2023.03.27 |
---|
댓글